오늘은 월급받는 모든 직장인들에게 필수정보중 하나인 4대보험 계산기 사용방법을
2016년기준으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자신이 직장인이라면 무조건 배워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돈이 계산대로 정확히 나가는지 본인이 계산해서
비교해보고 맞아야하고 다르게 더 빠져 나갈경우의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습니다.
실제로 4대보험계산기 사용법은 어렵지않으니깐
알려드리는대로 계산을 직접 해보시고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이 정도는 해줘야 하는게 월급쟁이들의 기본이라고 생각하네요 ^^;
이미 많은분들이 이용중인거 같네요 네이버에서 검색창에 4대보험 계산기라고 검색해보니
바로 위의 이미지를 보시다시피 찾기 쉽게 관련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클릭해서 계산기페이지로 이동해주시고요
자 접속하자 마자 이렇게 바로 모의계산을 할 수 있는 항목이 나오게 되는데요
계산기 찾을필요도없이 이렇게 바로뜨니깐 참 편하네요
이제부터 모의계산을 해볼텐데요 우리가 적을것은 단 하나입니다
자신이 한달에 얼마를 받는지 월 급여 칸에 자신의 월 급여를 입력하면됩니다.
저와 같이 해볼까요 저는 월 급여를 450만원으로 입력하여 보겠는데요
계산을 눌렀더니 알아서 공제되고 421만원이 뜨네요
사실 제 월급여는 저거 보다 낮은데 정보를 알려드리는 취지니깐
이거 계산하시는분들 다음에 저정도 받을수 있으면 좋겠다는 취지로 희망 급여를 넣었습니다.
잠깐 눈물좀 닦고 ㅠㅠ
바로 옆 항목에 건강보험 모의계산도 있는데요 아까와 똑같이 자신의 월급여를 입력하시면됩니다
참 쉽죠?ㅎㅎ 계산하니깐 근로자 부담액 사업주 부담액 보험료율등 2016년도 기준으로 아주 상세히 나오네요
옆으로 넘어가서 고용보험도 해보겠습니다
이제는 말안해도 아시겠죠 자신의 월급여를 넣어주고 계산하면 됩니다
그리고 자신이 다니는곳의 근로자수를 적어주시면 되겠죠 저는 임의로 150인 미만으로 하고 계산해본겁니다.
계산해보니 정말 쉽고 간단해서 머리아플 필요도 없는거 같네요.
그냥 자신의 급여만 입력했는데 아주쉽게 4대보험계산기를 이용해 2016년 요율로 한 계산이 끝났습니다.
마지막으로 강조하면 여기서 계산한 금액과 자신의 통장에서 자동이체되는 근로자부담액이 맞는지 확인해주시는 것입니다.
그걸 비교하기 위해서 이렇게 하는것이니 계산후에 꼭 맞춰보시길 바랍니다.
'필요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인지 부상 장하나 아버지 때문에? 전인지 논란의 불참 이유 (3) | 2016.03.07 |
---|---|
정청래 의원 보좌관이 지켜본 문재인, 정청래 의원님 제발 정신차려주세요 필리버스터 시작시간 부인 (0) | 2016.02.27 |
괌 지도 받아가세요, 괌 비행시간 안내 (0) | 2016.02.24 |
게임할때듣기좋은노래 브금 [수백곡 모음] (0) | 2016.02.24 |
애슐리 할인카드 가격 안내 (0) | 2016.02.23 |